어나니머스 – 익명, 보복, 위반의 정치 플랫폼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013년 5월호

어나니머스 – 익명, 보복, 위반의 정치 플랫폼

드디어 어나니머스가 지난 4월 8일 북한의 대남 선전 웹사이트인 우리민족끼리의 해킹과 회원정보 유출이라는 북한작전(OpNorthKorea)을 통해 한반도에 등장했다. 그러나 한국의 어나니머스는 특정 국가의 명칭과 국기를 사용하고 “종북세력 색출”을 주장한 탓에 이게 진짜 어나니머스냐는 진위 논란에 휩싸였고 내부 분열, 해체 소식이 전해지면서 의혹이 증폭됐다. 왜 이들은 어나니머스로 인정받지 못한 것일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라인에서 몰려다니며 짓궂은 장난을 일삼던 말썽꾼들이 어떻게 일련의 세계적 사건들에 개입하고 정치적 집단 행동을 벌이게 되었는지 그 역사를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그것은 한마디로 익명, 보복, 위반의 정치였다.

익명의 정치 – 우리는 군단이다!
어노니머스는 2003년에 개설된 이미지 공유 사이트인 4챈(4chan.org), 특히 비(/b/)라는 이름의 게시판에서 탄생했다. 이곳은 페이스북과 정반대로 이용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고 그들이 올린 내용을 오래 보관하지도 않는다. 그에 따라 이용자들은 재밌거나 충격적이고 기괴한 내용을 올리는 데 앞 다투게 되었고, 이내 비 게시판은 온라인 난동(trollings)의 진원지가 되었다. 대체로 그 일들은 말장난과 재미(lulz)를 위한 것이었다. 2006년부터 비의 이용자들이 동물 학대자나 네오나치를 향해 수백 통의 장난 전화와 대량의 피자 배달의 사이버 테러를 가하기 시작할 때, 그리고 2008년 이후 지구적 온라인 정치의 한복판에 출몰하게 되면서, 어나니머스는 역설적으로 이름 없는 자들이 공동 행동을 조직하고 조율하기 위한 집단의 이름이 되었다.
익명성의 적극적 표명은 국가 권력의 감시와 통제 차원, 그리고 페이스북과 같은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의 과잉 공유 문화의 차원에서 익명성이 축소되고 표현의 자유가 억압되는 현실에 대한 이용자들의 반격이기도 했다. 더 나아가, 어나니머스는 같은 이름과 같은 얼굴(가면)을 씀으로써 작고 약한 개인들이 곧바로 한 떼의 집단을 이룰 수 있게 되면서 거대하고 강력한 것에 맞서고 이길 수 있는 힘을 응축하게 된 것이다. 그렇게 익명으로 장전된 군중의 힘은 이내 정치적 스펙타클로 폭발했다.
2008년 정보 자유를 막아서고 폐쇄, 독단, 검열을 일삼는 사이언톨로지교에 반대한 일련의 집단행동이 그 첫 번째였다. 인터넷 채팅방(IRC)에서 반-사이언톨로지교 네트워크가 만들어졌고, 그에 전쟁을 선포하는 일련의 비디오가 제작되고 신속히 확산되면서 극적인 재미(lulz)와 선동을 도왔다. 그와 동시에 진지하고 과감한 행동으로서 거리 시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토론을 거쳐 지구적 공동행동의 날로 정해진 2008년 2월 10일 북미, 유럽, 남반구의 주요 도시에서 6천여 명이 동시다발 시위를 벌였다. 그야말로 이름 없는 개인들이 익명성을 앞세워 “군단”(we are legion)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사건이었다.

보복의 정치 – 우리는 잊지 않는다, 용서하지 않는다!
1990년대 후반 해킹행동주의(Hacktivism)라는 말과 함께 본격적으로 정치적 해킹이 나타난 것은 정부와 기업이 인터넷을 난도질하기 시작한 때였다.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2000년대 초반 디지털천년저작권법(DMCA)과 911 이후의 애국자법에 의해 감시, 검열, 통제의 인권 침해가 도를 넘기 시작했다. 그에 대한 분노와 저항은 해커 문화에 이어 보통 이용자들의 정서로까지 확대되었고, 어나니머스는 해킹 전통과 억압적 현실이 교차하며 돌출되었다. 처음에는 장난과 재미를 위해 모였지만 “우리의 인터넷”을 망가뜨리는 자들을 가만 두고 볼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반감과 복수의 정서는 또 다른 어노니머스가 2010년 영화와 음반의 저작권 수익을 챙기는 협회들에 벌인 일련의 보복작전(OpPayback)에서 잘 나타났다. 이들 협회가 파일공유 웹사이트인 해적만(Pirate Bay)을 향해 인도의 보안 업체를 고용해 디도스 공격을 가했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어나니머스는 그에 맞서 저작권 협회나 기관들에 똑같이 디도스 공격을 퍼부었다. 그 보복의 정치적 에너지는 위키유출(Wikileaks)에 대한 엄호로 이어져, 그 후원 계좌와 서버를 차단한 페이팔, 마스터카드, 아마존에 분노한 익명의 군단이 대거 결합해 며칠동안 그들을 인터넷에서 사라지게 만들었다. 이는 어나니머스가 세계적 기업에 대항해 해킹 행동을 감행한 초유의 사건이었다.
아랍 민주화의 봄의 진원지가 된 튀니지는 어나니머스의 그 다음 전장이 되었다. 민주화 시위가 국제 뉴스로 보도되기도 전에 튀니지아작전(OpTunisia)이 시작됐는데, 2011년 1월 튀니지 정부가 위키유출을 차단했기 때문이었다. 어나니머스는 정부 관련 웹사이트에 디도스 공격을 퍼부었고 시위대에 대한 경찰의 폭력 진압 비디오를 퍼날랐으며 정부의 감시를 우회하는 보안 기술을 현장의 활동가들에게 전수했다. 이전까지의 작전이 주로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검열 반대와 표현의 자유를 위한 것이었다면, 튀니지아작전을 시작으로 어나니머스는 아랍 곳곳의 민주화 시위 현장을 거쳐 월가 점령시위로 이어지는 세계적 사회운동 현장의 한복판에 출현하게 됐다. 어노니머스의 일련의 해킹 작전들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그에 전적으로 지지하지 않더라도 일말의 통쾌함을 느꼈다. 그 분노와 보복의 정서에 동감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어나니머스 코리아의 이번 북한작전에는 대담하고 가차 없는 공격이 있었을지는 몰라도 그런 대중적 공감을 자아낼 정서가 깔려 있지 않았다.

위반의 정치 – 기대하시라!
어나니머스는 정보와 표현의 자유를 실천하는 것이 법제도를 개정하는 일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보지 않는다. 재미를 추구하면서도 권력에 분노와 대항하며 익명성을 복원하려는 어노니머스의 진면목은 그 자유를 막아선다면 실정법조차 대담하게 넘어서는 위반의 정치에 있다. 어나니머스는 법의 경계에서 놀고 위반하면서 그것을 문제 삼는다. 동시에 내부에서도 보다 민주적인 규범과 질서를 만드는 노력이 계속된다. 단적으로 익명의 집단성은 서로에게 지도부나 유명 인사처럼 행동해서는 안 된다고 끊임없이 상기시키면서 권력의 중앙 집중화를 지양하는 내부의 정치적 역동을 통해 유지된다.
특히 그들의 행동 전술은 어느 누군가의 일방적 결정이 아니라 언제나 논쟁과 토론의 산물이다. 디도스 공격은 그들에게 가상 연좌 시위의 의의를 갖기 때문에 채택된다. 하지만 급진적 해커들은 이 전술에 반대하는데, 어떤 웹사이트를 접속 차단시키는 일이 실정법을 위반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누구의 것이든 정보 자유를 막아서는 일이기 때문이다. 정보 유출은 더욱 큰 논란거리인데, 그에 뒤따르는 엄청난 피해와 역공 때문이다. 2011년 4월 소니사가 플레이스테이션(게임기)의 저작권 보호 장치를 우회한 해커를 고소한 사건에 맞서 소니사를 공격하면서 일부 어나니머스가 1억 명의 고객정보를 유출한 일은 큰 비판을 받았다. 모두가 알아야 할 정보가 권력의 강화를 위해 비밀에 붙여지고 정보의 흐름이 통제될 때, 위키유출이 잘 보여주었듯이 내부 고발과 폭로 차원에서 정보 유출은 상당히 유효한 전술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지적재산권 침해나 기밀 유출의 프레임에 갇혀 사법적 처벌의 대상이 되거나, 무엇보다도 무고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유출을 동반할 때 어나니머스로서는 자살 행위에 가까운 전술이 되기 십상이다.

일베니머스?
바로 그런 차원에서 이번 북한작전은 대량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치명적인 잘못을 저질렀다. 더군다나 어나니머스 코리아라고 밝힌 한 트위터 이용자가 이 땅에서 반세기가 넘게 표현의 자유와 학문·사상의 자유를 억압해 온 국가보안법으로 그 회원들을 처벌해달라는 주장을 하기까지 했다. 그리고 바로 이 지점에서 어나니머스가 일베(일간베스트 저장소)와 만나게 됐다. 열린 구조를 갖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누구나 어나니머스가 될 수 있더라도 반민주주의, 지역감정, 여성 혐오를 일삼는 일베 커뮤니티가 어나니머스가 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어나니머스 코리아가 나타나 북한작전을 펼쳤고 북한 웹사이트의 회원정보가 유출되자 기다렸다는 듯이 일베의 마냥사냥식 신상털기가 이어진 정황을 놓고 볼 때, 한국의 특수한 정세를 반영하듯 어나니머스가 한반도에서는 “일베니머스”라는 변종으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프라이버시를 포기하는 방식으로 표현의 자유를 요구하는 것이 맞지 않다는 격렬한 반대의 목소리가 당연히 터져 나왔고, 진정 어나니머스라면 자살 행위나 다름없는 개인정보 유출을 저지른 탓에 진위 논란이 뒤따른 것이다.

어나니머스, 정치 플랫폼
이번 북한작전이 구조적 억압에 대한 분노와 보복이라는 대중의 공감을 얻지 못했다는 차원에서, 무고한 개인정보의 대량 유출과 이념 탄압적 신상털기로 귀결됐다는 점에서, 한국의 어노니머스는 처절한 실패로 시작됐다. 북한작전의 실패나 일베니머스라는 변종(가능성)이 말해주는 것은 그러나, 한국에서는 어노니머스나 정치적 해킹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아니라, 미국에서 시작된 어노니머스 현상과 사건들, 그 자유주의적 정치철학이 있는 그대로 적용되기 힘들다는 점이다. 어나니머스는 한국의 역사적이고 지정학적 특수성에 따라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냉전의 정치와 군사적 긴장, 극우적 온라인 커뮤니티의 출현, 새로운 정치적 표출 형태의 필요성이 교차하는 어느 지점에서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노니머스의 진위 논란보다는 오히려 우리의 맥락과 조건에 맞는 보다 더 다양한 정치적 의제와 목소리를 내는 어노니머스를 감행할 필요가 있다. 어나니머스는 어느 한 집단이 전유하며 독점할 수 있는 조직 형태가 아니라, 참여하는 사람 모두의 논쟁과 토론 그리고 직접 행동을 통해 자기 조직화해 나가는 일종의 정치적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적어도 정보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를 위해 그것을 짓누르는 지배적 힘에 맞서는 일이라면 누구든지 올라서서 익명, 보복, 위반을 수행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네트워크된 정치 플랫폼인 것이다.

참고 문헌
Gabriella Coleman. 2012. “Phreaks, Hackers, and Trolls: The Politics of Transgression and Spectacle.” In The Social Media Reader, edited by Michael Mandiberg. NYU Press.
Gabriella Coleman. 2011. Anonymous: From the Lulz to Collective Action Contributed. http://mediacommons.futureofthebook.org
Gabriella Coleman and Michael Ralph. 2011. Is it a Crime? The Transgressive Politics of Hacking in Anonymous. http://www.socialtextjournal.org

관련 글:

이 글에 달린 댓글을 RSS 2.0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위 글에 대해 답글을 남겨주시거나 트랙백을 걸어주세요!

댓글 남기기

XHTML: You can use these tag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