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in 2010-07-13 ¬ 4:02 오후h.해ㅋ
2007년에 완성되었지만, 제작자의 고집으로 개봉되지 못하고 묵혀있던 미국의 한 해커(Adrian Lamo)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두 달 전에 비트토런트로 유출되어 널리 “개봉”되었다!
처음에는 제작자 압력판이 유출되었는데, 감독이 이왕 유출될 바에 감독판으로 되면 좋았겠다고 한 후 감독판이 또 유출되었다!
아래는 예고편:
비트토런트 내려받기 – OneBigTorrent.org에서 Hackers Wanted aka Can You Hack It [Director's Cut Unrelease]
한글자막이 아직 없지만! 영화의 내용은 해커에 대한 [...]
Read the rest of this entry »
공동(共動 commons), 네트워크문화비판, 세상의 모든 해킹다큐멘터리, 미국, 불법복제, 비트토렌트, 영화배급, 영화산업, 유출, 해커, 해킹문화
Posted in 2010-07-08 ¬ 3:49 오전h.해ㅋ
“국내 유일의 미디어 아트 웹진 – 앨리스온”(aliceon.net)에 2010년 7월 6일에 올라온 글이다: 불법복제시대의 예술작품 _column (http://aliceon.tistory.com/1535)
앨리스온에서는 참조한 것들에 하이퍼링크가 없는데, 아래에 옮긴 것에는 있다.
——————–
불법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복제기술의 민주화
15세기 이래 인쇄술의 발전으로 문자 정보의 대량복제가 계속 되는 가운데 산업자본주의 시대가 되면서는 소리 정보, 그리고 영상 정보의 대량복제가 가능해진다. 문화연구자인 발터 벤야민이 주목한 기계복제나 미디어연구자인 마샬 맥클루언의 전기복제는 산업자본주의 [...]
Read the rest of this entry »
공동(共動 commons), 네트워크문화비판문화산업, 벤야민, 복제기술, 불법복제, 불법복제시대, 예술작품, 저작권, 정보기술, 해적질, 해킹문화
Posted in 2010-06-06 ¬ 7:36 오후h.해ㅋ
패션산업은,
우리가 잘 알다시피, 첨단 문화산업 혹은 창조산업의 하나이고, 매 계절마다 새로운 유행을 창조하는 그야말로 혁신으로 점철되는 산업이다. 그 배경(의 하나)는 합법적인 해적질, 혹은 합법적인 “불법복제.”
저작권과 특허가 없는, 다만 상표권은 강하게 보호받는, 패션산업!
(2D 의류 디자인은 법적 보호를 받는데, 3D 실제 의류는 아니다.)
그래서 기업이나 대학의 연구문화 혹은 대중 문화산업에서라면 표절, 해적질, 불법복제로 대판 전쟁이 붙을 일이지만, 옷이나 [...]
Read the rest of this entry »
공동(共動 commons), 네트워크문화비판공정이용경제, 디자인, 문화노동, 문화산업, 불법복제, 상표, 자유문화, 저작권, 정보노동, 지식노동, 지재권, 창조노동, 창조산업, 특허, 패션산업, 해적질
Posted in 2010-06-05 ¬ 12:03 오후h.해ㅋ
초국적 노동자 자주관리 공장 의류 상표(brand): 노체인(No Chains)
(‘사슬을 끊자’로 번역해도 될라나…)
태국의 방콕의 “존엄성의 귀환”(Dignity Returns)과 아르헨티나의 브에노스 아이레스의 “알라멘다”(La Alameda) – 두 지역의 의류노동자들이 연대해 만들었다. 2010년 6월 4일 출시!
http://www.nochains.org
http://www.dignityreturns.com
http://www.mundoalameda.com.ar
Gastón Fernandez
Juyoung Park
Muhamad Yusuf
Vassil T. Vassilev
Yan Yan Chan
위의 디자인은 이 상표의 출시 전에 콘테스트 행사가 있었던 모양인데, 거기에 출품된 디자인들.
————-
이 상표의 옷을 사면, 그 수익 모두가 [...]
Read the rest of this ent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