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in 2010-06-06 ¬ 7:36 오후h.해ㅋ
패션산업은,
우리가 잘 알다시피, 첨단 문화산업 혹은 창조산업의 하나이고, 매 계절마다 새로운 유행을 창조하는 그야말로 혁신으로 점철되는 산업이다. 그 배경(의 하나)는 합법적인 해적질, 혹은 합법적인 “불법복제.”
저작권과 특허가 없는, 다만 상표권은 강하게 보호받는, 패션산업!
(2D 의류 디자인은 법적 보호를 받는데, 3D 실제 의류는 아니다.)
그래서 기업이나 대학의 연구문화 혹은 대중 문화산업에서라면 표절, 해적질, 불법복제로 대판 전쟁이 붙을 일이지만, 옷이나 [...]
Read the rest of this entry »
공동(共動 commons), 네트워크문화비판공정이용경제, 디자인, 문화노동, 문화산업, 불법복제, 상표, 자유문화, 저작권, 정보노동, 지식노동, 지재권, 창조노동, 창조산업, 특허, 패션산업, 해적질
Posted in 2010-06-05 ¬ 12:03 오후h.해ㅋ
초국적 노동자 자주관리 공장 의류 상표(brand): 노체인(No Chains)
(‘사슬을 끊자’로 번역해도 될라나…)
태국의 방콕의 “존엄성의 귀환”(Dignity Returns)과 아르헨티나의 브에노스 아이레스의 “알라멘다”(La Alameda) – 두 지역의 의류노동자들이 연대해 만들었다. 2010년 6월 4일 출시!
http://www.nochains.org
http://www.dignityreturns.com
http://www.mundoalameda.com.ar
Gastón Fernandez
Juyoung Park
Muhamad Yusuf
Vassil T. Vassilev
Yan Yan Chan
위의 디자인은 이 상표의 출시 전에 콘테스트 행사가 있었던 모양인데, 거기에 출품된 디자인들.
————-
이 상표의 옷을 사면, 그 수익 모두가 [...]
Read the rest of this entry »
Posted in 2010-06-05 ¬ 11:33 오전h.해ㅋ
전자책(ebook) 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a.aaaarg.org 사이트(문화연구를 위한 글창고: AAAARG.ORG)가 폐쇄 당해서 안타깝다. 물론 책의 해적질은 계속될 것이고… (인문사회과학 관련해서, 특히 철학 관련한 것으로, 부족하나마 여기를이용하면 되겠다: Bedeutung).
한국에는 해적질은 아니고, 공유정보영역(public domain) 차원에서 책의 디지털화와 공유를 해온 “노동자의 책”이 있다 – 노동자의 책 : 다중의 인문사회과학 전자도서관
대중과 호흡하는 평의회 출판사(2010년 06월 03일)라는 기획도 흥미롭다!
이 글을 [...]
Read the rest of this entry »
공동(共動 commons), 네트워크문화비판, 세상의 모든 해킹a.aaaarg.org, 노동자의 책, 전자책, 지식해킹, 지재권, 책, 출판, 출판사, 평의회 출판사
Posted in 2010-06-05 ¬ 10:29 오전h.해ㅋ
미디어 사회문화사, 정보기술(IT), 해적질/불법복제의 복제문화, 저작권, 등을 가로지르는 핵심에는 복제를 누구나 “셀프”로 할 수 있게 된 점이 주요하겠는데, 사태는 좀 더 나아간다. 해킹문화는 이제 복제 기계(기술)도 셀프로!
자기복제하는 3차원 인쇄기(RepRap 혹은 3D printer)
여러가지 토론거리가 있을텐데, 무엇보다도 [디지털]정보(재)는 물질(재)와 다르다며 논리를 폈던 정보예외주의를 재검토해야할 것.
RepRap from Adrian Bowyer on Vimeo.
혹은
http://reprap.org
관련 글:개인휴대용 3차원 인쇄기(pp3dp)3차원 인쇄기(3D printer): 점점 복잡한 [...]
Read the rest of this ent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