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비판: 자유 소프트웨어 세계의 M$ ?

소프트웨어산업의 지구적 독점자본 – M$를 뒤흔들며 위협하는 것이 그에 도전하는 수두룩한 경쟁업체들이 아니라 전세계에 퍼져있는 자유소프트웨어 개발-이용자 공동체라는 사실은 언제나 신나는 이야기이고, 그야말로 해킹의 힘이라고 할만 하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한가? (물론, M$의 독점에 맞서기 위한 경쟁업체들의 주요 전략이 오프소스 소프트웨어의 활용이었다는 점이 결정적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자유소프트웨어와 오픈소스소프트웨어 간의 다층적 구별이 매우 중요하다. 하여간)

이 해킹의 힘을 보여주는 것 중에서 우분투(ubuntu)가 대중적으로 부각되어왔다. 그누/리눅스 계열 운영체계(OS)의 여러 배포판(distro) 중의 하나에 불과하지만 아마도 가장 대중적 인기를 얻고 있는 듯 하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분투의 성공은 보다 정의로운 사회변화를 아래로부터 일궈내는 풀뿌리 공동체에 기댄 것이고 또 그에 보탬이 되는 성공인가? 우분투가 한 벼락부자의 재정지원으로 가능한 것이었는데, 그저 고마워하면 될 따름인가? 잘 써오고 있지만, 뭔가 떨떠름하다. 종종 우분투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관점과 비판적 접근을 찾아보았는데, 아래 한 묶음이 있다.

— — —

올해 1월, 브래들리 쿤(Bradley M. Kuhn)이라는 해커가 자신의 블로그에 “다시 데비안으로 돌아오다”(Back Home, with Debian!, 14 Jan 2010)라는 글을 올렸다. 자신이 1990년대 후반에 레드햇 리눅스 (페도라)를 써본 경험과 여러 리눅스 기업들에서 일한 경험에 비추어, 이들은 [당연한 얘기지만] 자유소프트웨어 개발-이용 공동체가 아니라 기업의 발전에만 매달리고, 기업이 관리하는 리눅스 배포판에 사유(proprietary) 소프트웨어를 포함시키려고 하면서 돈벌이에 골몰하는데, 그가 볼 때 우분투(를 관리하고 있는 캐노니컬[Canonical ltd.]) 역시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우분투를 잘 쓰다가 다시 데비안으로 돌아온 7가지 이유를 적고 있다.

  1. 우분투의 기본설정으로 들어가게 된 [소위 '클라우드 컴퓨팅'의 일종인] 우분투원(Ubuntu One)의 서버 쪽 시스템이 사유 소프트웨어로 되어 있다. … 우분투의 모든 이용자들이 새로운 사유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에 정규적으로 의존하도록 만드는 것이 캐노니컬의 최상 목표 중의 하나인 듯 하다.
  2. 자유소프트웨어 공동체에 반하는 공격적인 저작권 양도 정책( copyright assignment policies)의 문제: 대부분의 영리기업이 취하는 저작권 양도 정책은 기업이 지어야할 잠재적인 카피레프트 의무를 최대한 벗어버리게 설정하는데, 캐노니컬의 저작권 양도 정책( Canonical’s copyright assignment)이 바로 그렇다. 더 심하게, 캐노니컬의 경영 방침은 공동체가 그 저작권 양도 정책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는데 더더욱 공격적으로 작업해왔다…
  3. [자유를] ‘제약하는’(restricted) 소프트웨어와 ‘주요한’(main) 소프트웨어 사이의 구분이 너무 희미해지고 있다. 제약된 드라이버 설치 경고가 나오기는 하지만 이는 예외적이고 대부분 처음 설치할 때조차 사유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있다면 그렇다고 고지를 하지 않고 있다. 보다 많은 하드웨어에서 우분투가 작동하도록 만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사유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고 봐주더라도 이용자에게 그런 하드웨어 업체 때문에 특정 사유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는 것을 알리지조차 않는 것은 문제다. …
  4. 1990년대 레드햇이 보였던,  “우리의 플랫폼에서 더 많은 사유 소프트웨어를 쓰자”는 패턴을 캐노니컬도 아주 오래 전부터 보여왔다.
  5. “소프트웨어센터”라는 메뉴를 통해서 제3의 사유 소프트웨어 설치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
  6. 캐노니컬이 그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사유 소프트웨어를 찬양하는 자를 임명했다: 그는 “개방성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떤 경우에는 M$를 포용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말한 바 있다. …
  7. 론치패드(Launchpad)를 AGPLv3으로 출시하려다가 포기하고 사유 소프트웨어로 대체하려 했다. …

잘 모르겠는 것들도 있고… 하여간,

처음에는 3번째까지만 있다가 계속 갱신되며 추가된 것인데, 처음 올라온 글이 우분투 개발자 메일링 리스트(lists.ubuntu.com/archives/ubuntu-devel)로 보내지고 거기서도 비교적 짧게 토론된 내용도 몇 가지 볼만 하다: Bradley Kuhn on switching back from Ubuntu to Debian와 그 글타래(2010-January/thread.html#29976)

우분투원에 대해: “그럼 너는 구글이나 페이스북 안 쓰냐,” 인터넷상의 웹 서비스가 사유소프트웨어에 기반을 두고 대체로 돌아가는 것까지 어쩔거냐 …는 식으로 다소 초점이 빗나간 주장에 대한 토론이 잠깐 있다가,

“이미 대부분의 급진적인 사람들은 [우분투를 떠나] 그뉴센스(gNewSense)로 옮겨갔고, 능력주의 공동체를 추구하는 자들은 데비안으로 돌아갔다”는 언급도 나오고,

현재 우분투는 “공동체가 아니라, 캐노니컬이 통제하고 있다”는 얘기도 눈에 띠었고, 무엇보다도 관건은 캐노니컬이 후원하는 개발 프로젝트에 기여한 개발자가 꼭 해야하는 저작권 양도 계약의 문제에 관한 토론 대목이다.

  • 그 저작권 양도 계약 내용을 보면, 캐노니컬이 상당히 많은 자원을 투여하며 기여하는 공동체 개발 프로젝트로서의 우분투라기보다는, 캐노니컬이 소유하는 프로젝트라는 인상을 준다.
  • 저작권 양도는 잘 알려진 (공동체 개발자들의 기여를 막는) 진입 장벽인데… 특히, 어떤 사람들은 기여하면서 그들이 제출한 작성물에 대해 저작권을 유지하고 싶어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혹은 누군가가 사적으로 전유하지 않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 http://www.canonical.com/contributors에 보면, 캐노니컬이 100% 저작권 가진 프로젝트에 대해서 그에 기여한 사람들이 그 기여 부분의 저작권을 캐노니컬에 양도하도록 하고 있는데, (로코팀 웹사이트와 같이 캐노니컬 스텦이 공동체 프로젝트에 작업을 할 때조차 저작권 양도가 강요되기도 하고,)
  • 왜 자유소프트웨어재단(FSF)이나 모질라재단과 같이 재단이 저작권과 상표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우분투재단이 이를 맡지 않고 캐노니컬이 저작권을 갖는(양도받는) 방식으로 하는가, 왜 캐노니컬이 우분투의 핵심 개발 프로젝트들에 100% 저작권을 유지하기를 원하는가?
  • 혹시 그 이유는, 캐노니컬이 적절한 라이선스의 계약을 존중하지 않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재배포할 수 있을 필요 때문인가, 혹은 [향후] 라이선스를 바꿀 권한을 보존하기 위해서인가?
  • 자유소프트웨어재단(FSF)에서도 개발자들의 기여에 대해 저작권 양도를 받을 필요가 있기는 하지만 방식이 다르다. FSF의 경우, 저작권 양도를 받을 때 항상 그리고 영원히 소프트웨어의 모든 판본을 오로지 자유 소프트웨어로만 출시할 것을 약속하는 반면, 캐노니컬은 저작권의 관리인(steward)이 되기를 원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 기여에 대해] 특별하고 배태적인 권리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 캐노니컬은 개발자들에게 그들의 모든 권리를 포기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거의 아무것도 제공하지 않고 있다. 개발자들은 모든 카피레프트의 이득을 박탈당하고, 캐노니컬만 그 이득을 얻고 있는 것이다.
  • (캐노니컬은 단지 가장 최근의 사례일 뿐 – 수많은 오픈소스계의 영리회사들이 저작권 양도를 그런 식으로 하고 있다…)

이 토론을 통해서도 자유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의 저작권 처리 문제가 상당히 문제적이고 복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유소프트웨어 공동체, 혹은 (더 심각한 지경일텐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의 저작권 양도 문제는 사실 저작권 개혁주의 같은 접근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 사안이다.

제로밀(jaromil)이라는 해커도 위의 쿤(Kuhn)의 문제제기 중에서 특히, 우분투가 자유소프트웨어의 자유(free, libre)를 무료(free, gratis)로 받아들이게 하는 문제를 지적한다:  <nettime> philanthropic monopolies (30 Jan 2010). 단적인 예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삭제할 수 있는 “우분투소프트웨센터”(Ubuntu Software Center)의 인터페이스를 보면, 돈을 지불해야하는 전문적인 소프트웨어가 있고 돈을 낼 필요없는 무료의 아마추어 수준의 소프트웨어가 있다는 식의 인상을 준다는 것이다. 이탈리아어 판본은 무료( gratis)라고 번역되어 있기까지 하다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리눅스가 (그누/리눅스가 아니라) 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조치들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제로밀(jaromil)은 풀뿌리 자유소프트웨어 개발 공동체에는 재앙에 가까운 일이라고 본다. 사실, 우분투는 그 인기와 관심에 따라 지금까지 축적한 부를 그 풀뿌리 자유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재분배한 적도 없다. 즉, (오픈소스나 사유소프트웨어가 아니라 최대한) 자유소프트웨어로 작성된 데비안(Debian)을 갈래쳐서(forking) – 다시 그 자유소프트웨어 개발  공동체에는 기여하는 것이 거의 없다시피한 채 – “인류를 위한 리눅스”(여기서도 그누/리눅스가 아니고)를 실현한다고 하면서 모든 대중의 신뢰(credits)와 후원[금]을 챙기고 있는 것은 아닌가. 그래서 제로밀(jaromil)은 캐노니컬 기업이 자유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후원하기보다는 지배권을 추구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이를 “박애주의의 거품“(philanthropic bubble) 혹은 “박애주의의 독점“이라고 했다.

오픈소스(소프트웨어)가 나쁜 자본주의가 아니라 좋은 자본주의에 기여한다고 해서 그것을 “우분투 리눅스는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적극적인 반 자본주의 실험”(이정환닷컴)이라고 오해해서는 안 된다. 좋은 자본주의도 자본주의고 “자본의 공산주의”도 (공산주의하는 것처럼 보여도) 여전히 자본주의이기 때문이다.

물론! 우분투의 대안은 있다. 단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브래들리 쿤(Bradley M. Kuhn)이 되돌아간 데비안도 있고, 제로밀(jaromil)이 주축이 돼서 개발해온 다인볼릭(Dynebolic)도 있고, 아예 데비안(Debian)을 모체로 하고 우분투에서 갈래쳐서(forking) 철저하게 자유소프트웨어만 모은, 자유소프트웨어센터(FSF)가 후원하는 그뉴센스(gNewSense, gnewsense.org)도 있다. 이들을 포함한 여러 그누/리눅스 배포판들: http://www.gnu.org/distros/free-distros.html

gNewSense

Dynebolic

위의 문제제기들이 괜한 시비가 아니라 정당한 비판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국내의 데비안 이용자 모임을 비롯해 다양한 그누/리눅스 공동체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kldp.org/node/119698)은 더욱 안타까운 일이다. 우연인지 상관이 있는지, 한국의 우분투 이용자모임 정도를 제외하고…

관련 글:

이 글에 달린 댓글을 RSS 2.0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위 글에 대해 답글을 남겨주시거나 트랙백을 걸어주세요!

5 Comments »

 
  • vipin m 님의 말:

    Bengaluru (also called Bangalore) is the capital of India’s southern Karnataka state.
    The center of India’s high-tech industry, the city is also known for its parks and nightlife.
    By Cubbon Park, Vidhana Soudha is a Neo-Dravidian legislative building.
    Former royal residences include 19th-century Bangalore Palace,
    modeled after England’s Windsor Castle, and Tipu Sultan’s Summer Palace, an 18th-century teak structure.
    best brands in world
    which are the worst fruit in world
    best quote of the year
    which is the best hospital in kerala
    how is the prime minister of france
    best brands in tshirt
    which is the most beautiful place in karnataka

    [답변]

  • 산사랑 님의 말:

    저는 오픈소스로 돈을 버는 것이 좋다고 생각 합니다. 아니 수익을 내는 것을 권장 합니다.

    그러나 수익을 위해서 원래 오픈소스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기여쟈의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ubuntu는 레드헷과는 다른 순수한 오픈소스인줄 알았는데 위글을 읽어 보니 실망이군요.

    [답변]

    해ㅋ의 답변:

    저도 오픈소스로 경제가 돌아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는데요, 여러 오픈소스 기업의 사업모델을 계속 들여다볼수록 그것이 공동체의 생계와 발전을 위한 경제가 아니라 공동체를 수탈하는 경제로 나타납니다.
    그렇지 않은 대안 모델을 찾고 있습니다.

    [답변]

  • mete0r 님의 말:

    좋은 글 감사합니다. 우분투의 저작권 양도 정책은 몰랐는데 주의해야겠네요. 정확히 어떤 경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아직 잘 감이 안잡히는데, 언젠가 한번 찬찬히 살펴보고 실수로라도 그렇게 넘기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ㅎㅎ

    소개해주신 배포판 중에 dyne:bolic이라는 배포판이 특히 흥미롭네요.

    “dyne:bolic is RASTA software released free under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This software is about Digital Resistance ina babylon world which tries to control the way we communicate, we share our interests and knowledge.

    The Roots of Rastafari movement are in resistance to slavery: this software is one step in the struggle for Redemption and Freedom from proprietary, closed-source and resource intensive software.”

    dyne:bolic은 GNU 일반공중허가서 하에 배포되는 “라스타 소프트”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우리가 소통하고 이익과 지식을 공유하는 방식을 통제하려 드는 전제적 세계에 디지털로 저항하는 것이다.

    라스타파리(Rastafari) 운동의 뿌리는 노예제에 대한 저항에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사유화되고, 원본이 비공개될 뿐더러 자원 소모가 심한 소프트웨어들로부터의 해방과 자유로 가는 투쟁의 한 걸음이다.”

    자유소프트웨어의 문제의식에다, 소프트웨어를 쓰려면 점점 더 비싸고 강력한 신형 하드웨어가 필요한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더하고 있네요. 이것도 언젠가 한번 써보고 싶어지네요 ㅎㅎ

    [답변]

    해ㅋ의 답변:

    “우분투의 저작권 양도 정책”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볼 생각입니다. 공동체 개발자로의 직접 경험이 없어 아쉽지만… 우분투 뿐만 아니라 오픈소스SW나 자유SW의 개발 과정에서의 저작권 이슈는 “오픈”소스에 대한 여러 오해나 환상을 좀 벗어던질 수 있게 해줄 사안일 것이고, 저작권 문제설정에서도 권리자 대 이용자의 구도만이 아니라 저작물의 창작(생산)과정에서의 (대안적) 소유관계를 더 드러낼 수 있을 사안일 듯 합니다.

    다인(dyne) 중에서도 다인볼릭(dyne:bolic)은, 위에 번역해주신 내용과 더불어, 이게 또 시청각 미디어 편집용으로 특화된 것이라, 조만간 있을 저작권 비판 다큐 제작 때 아마도 시도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답변]

 

산사랑 에 응답 남기기

XHTML: You can use these tags: <a href="" title=""> <abbr title=""> <acronym title=""> <b> <blockquote cite=""> <cite> <code> <del datetime=""> <em> <i> <q cite=""> <strike>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