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 2초마다 축구장만한 넓이의 숲이 사라진다. 90분 게임 동안, 축구장 2700개의 넓이의 숲이 사라지고, 월드컵의 64개 경기 동안이면 무려 172,800개의 축구장이다.”
Every two seconds, an area of forest the size of a football pitch is cut down. For a 90 minute game, that’s 2700 football pitches. For the 64 games of the World Cup, that’s a staggering 172,800 football pitches.
패션산업은,
우리가 잘 알다시피, 첨단 문화산업 혹은 창조산업의 하나이고, 매 계절마다 새로운 유행을 창조하는 그야말로 혁신으로 점철되는 산업이다. 그 배경(의 하나)는 합법적인 해적질, 혹은 합법적인 “불법복제.”
저작권과 특허가 없는, 다만 상표권은 강하게 보호받는, 패션산업!
(2D 의류 디자인은 법적 보호를 받는데, 3D 실제 의류는 아니다.)
그래서 기업이나 대학의 연구문화 혹은 대중 문화산업에서라면 표절, 해적질, 불법복제로 대판 전쟁이 붙을 일이지만, 옷이나 가방의 온갖 패션 디자인들은 합법적으로 표절 – 복제되고, 그것이 패션 산업 혁신의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아래 비디오와 그 Norman 연구센터의 연구 결과를 보면, 패션산업은 그래서 자유문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