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ublications

3차원 애니/게임 창작도구 – 블렌더: 독점sw에서 자유sw로…

지난 8월에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에서 진보네트워크센터가 주최한 “다운로드 해적들” 영화제에서 최초의 오픈소스영화로 불리는 ‘코끼리의 꿈‘과, ‘거인 수컷 토끼‘가 상영되었는데, 이 둘 모두 3차원 애니메이션 창작도구인 블렌더(Blender)로 주로 제작되었다. 자유소프트웨어로 만들어진 오픈소스영화! (이 영화들은 위 제목의 링크로 가면 볼 수 있고 내려받을 수도 있다.)

블렌더 사용법에 대한 책을 내기도 한 싱가포르의 한 해커(자유소프트웨어 개발자)한테 1시간 좀 안 되게 살짝 배워봤는데, 눈이 휘둥그레지기는 했지만 맘먹고 연습을 하지 않고는 쉽게 쓰기는 어렵더라는…

그런데 블렌더(Blender)로 3차원 게임도 만들 수 있다: 게임 제작 가이드 책에 대한 정보가 정보공유연대 메일링 리스트에 돌아서 알게 되었다.

한국에서 블렌더 사용자가, 다른 자유소프트웨어들처럼 많지 않은데:

그런데 블렌더의 역사를 보면, 흥미로운 것이 처음에는 독점 소프트웨어였다가 회사 부도나고 하면서 자유sw로 되었다는 사실이다. 콘텐츠 창작 도구가 정보 공유지로 되고 이걸로 만들어진 콘텐츠도 정보 공유지로 되고…! 아래에 좀 정리해 봤다:

출처: http://www.blender.org/blenderorg/blender-foundation/history/

NeoGeo: 1988년에 Ton Roosendaal 등이 공동설립한 네델란드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1995년부터 새로운 3D 소프트웨어 도구를 개발하기 시작: 지금의 블렌더가 됐다.
1998년: NeoGeo로 분사한 Ton Roosendaal는 시장 확대와 블렌더의 개발을 위해 NaN(Not a Number)라는 새로운 회사를 설립.
컴팩트하고 모든 플랫폼에서 돌아가는 3D 도구를 개발해 무료로 배포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음. NaN의 비즈니스 모델은 그 대신, 블렌더와 관련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1999년 Siggraph 박람회에서 이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발표되고, 투자가 줄을 이어 4백 5십만 유로를 유치하면서 50명(네델란드, 일본, 미국)을 고용하는 회사로 확장되었다.
2000년 여름에 블렌더2.0이 출시되었는데, 3D 한 벌(suite) 에 통합 게임 엔진이 포함되어 있었다. 2000년 말까지 등록된 이용자만 250,000명을 돌파하였다.
하지만 무리한 확장이 회사의 부도로 이어졌고, 2001년 4월에 새로운 투자자들을 유치하며 보다 작은 회사로 새롭게 출발해야 했다.
반 년 후에 NaN의 첫 번째 상업적 소프트웨어인 Blender Publisher가 착수되었다. 이는 웹기반의 상호작용 3D 미디어라는 신흥시장을 겨냥한 것이었다. 하지만 판매율 저조와 경제적 어려움을 겪다가, 투자자들이 투자를 거두면서 블렌더의 개발도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이용자 공동체와 Blender Publisher를 구입했던 소비자들로부터 열광적인 후원이 있었지만, 충분한 개발자를 둔 회사를 다시 시작하기는 힘들었기 때문에 2002년 3월, Ton Roosendaal는 비영리적인 블렌더 재단을 출범시킨다.
블렌더 재단의 첫번째 목표는 블렌더를 공동체 기반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로서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활성화하는 것이었다.
2002년 6월, Ton은 이에 동의하는 NaN의 투자자들을 구하기 위해 “자유 블렌더”(Free Blender) 캠페인을 벌였다. 이는 투자자들이 블렌더를 오픈소스화하는 것에 동의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1회 비용으로 100,000유로를 모으는 것이었다. NaN에서 일했던 개발자들을 포함해 열광적인 자원자들과 함께 기금 모금을 위한 “자유 블렌더”(Free Blender) 캠페인을 벌였다.
놀랍게도 7주 만에 이 돈이 모금되었고, 2002년 10월 13일(일)에 블렌더는 GNU-GPL을 달고 출시되기에 이른다. 그 날 이후 블레더의 개발은 전세계의 자원자들로 구성된 팀에 의해 계속되고 있다.
매일매일의 피드백과 개발자 및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오픈소스 방식의 개발로 블렌더의 훌륭한 기능들이 갖춰져왔다.
또한 블렌더 재단은 모금된 기금으로 블렌더 공동체에서 이름난 예술가들을 모아 3D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프로젝트 오렌지”는 2005년에 시작되어 세계 최초의 오픈소스영화인 “코끼리의 꿈”을 제작하게 된다. 이는 전적으로 오픈소스 도구를 통해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최종 결과물과 스튜디오에서 사용된 모든 소스(asset – 이미지, 음악 등)들을 개방된 라이선스인 창조공유지(CC)로 공개하였다.
이 프로젝트의 크나큰 성공에 힘입어, Ton Roosendaal은 2007년 여름에 “블렌더 연구소”(Blender Institute)를 열고, 3D 영화, 게임 혹은 시각효과와 관련된 오픈 프로젝트들을 수행하고 있다.
2008년 4월, 블렌더 연구소는 “거인 숫토끼”(Big Buck Bunny)라는 오픈소스영화를 제작하는 복숭아 프로젝트(Peach Project)를 완결하였다.
최근에는 오픈소스개임인 Apricot를 개발 중에 있다.
2008년 6월, 암스테르담

관련 글:

‘전투적 현장기술지’ 혹은 ‘전투적 인류학’

지식생산 방식의 변화 그리고 사회운동의 변화 상황에서 활동가이자 연구자로서의 정체성 구축 혹은 활동(가)과 연구(자)의 결합을 어떻게 이뤄낼 것인가 – 이것이 아마도 ‘전투적 현장기술지’의 핵심이지 않을까 싶다.

2008년 촛불시위, 2009년의 용산참사, 쌍용차 점거 파업 투쟁 등을 겪거나 보면서 활동과 연구가 어떻게 병행되고 결합될 수 있는가의 질문을 안게 되면서 관심을 갖고 찾게 된 것이 ‘전투적 현장기술지’(militant ethnography) 혹은’전투적 인류학’(militant anthropology)이다. 하지만 마치 새로운 것처럼 얘기할 것은 아니다. 예전부터 있었던 ‘전위적 지식인’이나 ‘유기적 지식인’에 대한 이론 및 실천과 맥을 같이 하여 현재에 이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현재라고 하는 조건인데…

한두 개의 글을 읽어본 것으로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라 맛뵈기일 뿐이다. 나중에 본격적으로 검토해볼 기회를 만들어 볼 일이다(제일 아래에 이번에 참조한 것들과, 더 참조할 것들을 적었다. 또한, ‘전투적’ 대신에 ‘행동주의적’[activist]이라는 말도 쓰이고, 미디어운동 쪽에서는 ‘행동주의적 미디어 연구’[activist media research]가 있기도 하다).

‘전투적 인류학’은 낸시 쉐퍼-휴즈(Nancy Scheper-Hughes)라는 미국 의료 인류학자가 (처음인지는 모르겠으나) 주창하였는데, 윤리에 기반을 두고 정치적으로 헌신하는 연구, 이른바 맨발의 인류학을 요청하였다. 그런데 ‘전투적 인류학’이 인류학 내에서의 반성과 운동의 방법으로 국한되었다고 볼 수 있다면, ‘전투적 현장기술지’는 주로 활동가이면서 인류학자인 사람들이 주창하고 있는데 인류학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수많은 방식으로 활동가들이 스스로 실천되는 연구 방법에 조응하는것으로 제시된다.

1990년대를 전후로 해서 이것들이 등장하게 된 것은 인류학 내부의 반성, 더 큰 (특히 사회운동과 연계된) 학술 공동체에서의 새로운 모색의 과정이 있었을 것이고,

지구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지식의 공동 생산과 즉각적인 배포/공유/토론이 가능한 환경이 되면서, 활동가와 지식인의 분업 구조가 깨져왔다는 것도 이러한 대안 연구 방법이자 정치적 실천으로서 전투적 현장기술지(militant ethnography)가 제기되는 맥락이다. 누구랄 것도 없이 지구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회변화와 운동을 이론화하고, 자기-출판하고, 즉각적으로 배포하여 공유하는 상황에서 전략적 분석과 정치적 지침을 독점적으로 제공하는 유기적 지식인의 전통적인 기능은 낡은 역할이 되었다는 것이다.

즉, 활동가들이 스스로의 활동을 분석하고 널리 공유하면서 평가하고 (다시) 계획을 세우며 실천해 가는 상황에서 관찰자-연구자의 위치는 애매해지고, 더군다나 그 위치가 객관주의적 패러다임을 유지하려고 할 때, 그 지식생산의 유용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경험적으로 느낄 수 있듯이, 밖에서 보고 듣고 관찰하는 것만으로는 특정한 실천이 발생되는 구체적인 논리, 정서, 정황 등을 잡아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면?

연구자 자신이 적극적인 그 실천의 내부에서 하나의 행위 주체가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전투적 현장기술지는 연구와 실천 사이의 분업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는 자신의 고유의 분석과 이론을 동원한 연구를 통해 활동가들에게 운동의 전략이나 정치적 지침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의 생산 과정 자체가 협력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고 그렇게 생산된 현장기술 지식이 운동의 목표, 전술, 전략, 조직 형태/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활동가들의 (자기) 성찰을 촉진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집합적인 실천의 형태로 연구 활동이 이뤄지도록, 현장의 운동에 비판적으로 관여하면서도 이론적으로 지적 역량을 갖춘 분석을 내놓으면서 연구-활동가는 그 전투적 현장기술지가 운동의 주체들에게  지속적인 자기 성찰과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쓰이도록 만드는 것이다.

그래서 전투적 현장기술지는 지식생산이 누구을 위한 것이고 누구에게 쓸모가 있느냐에 대해서 특별하다. 생산된 지식 자체에 집중하고(심하게는 저작권 등으로 사적 소유물로 만들고) 마는 것이 아니라, 앞서 언급했듯이 지식생산 과정 자체가 실천적 관여와 협력의 그것이 되도록 하고, 더 중요하게는 그 결과물이 어디로 배포되어 어떻게 제시될 지, 어떤 사람들과 공유될 지를 고민하고 기획해야 한다.

몇몇 연구-활동가들이 전투적 현장기술지의 의미 혹은 새로운 지식 활동가의 역할에 대해 언급한 것들을 보면,

  • 데이비드 그레이버(David Graeber, 2004): 현장기술지는 행동주의 실천 그리고 부상하는 유토피아적 상상력에 대한 집합적인 성찰을 돕는 도구
  • 줄리아 팔리(Julia Paley, 2001): 외부 세계에 대한 집합적 분석을 위한 도구
  • 존 버딕(John Burdick, 1998): 운동 내부의 사회문화적 이질성을 이해하기 위해 운동이 스스로를 재현하는 걸 돕는다… 그래서 전투적 현장기술지는 활동가들이 그들 자신의 현장기술적 연구를 수행하는 걸 돕는다… 이를 통해 자신의 운동 부문만이 아니라 다른 운동 부문을 분석하고 이해하고 어떻게 연대하며 효율적으로 함께 일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전투적 현장기술지가 수많은 사람들 – 공중에게 다가가려는 운동 (주체들의) 노력을 지원하는 걸 의미한다.

대항세계화운동 혹은 신자유주의세계화반대운동과 다름없이 ‘지구저항운동’에 활동가로 참여하며 현장기술 연구를 한 경험으로 위와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 제프리 주리( Jeffrey S. Juris)는 다음과 같이, 전투적 현장기술지가 (적어도) 3가지 상호연관된 과정과 관련된다고 요약하고 있다.

  • 운동의 실천, 논리, 새로 나타나는 문화/정치적 모델에 대한 집합적 성찰과 전망 세우기
  • 전략과 전술에 대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 권력 관계와 보다 넓은 사회적 [상호] 과정에 대한 집합적 분석
  • 다양한 운동[부문]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각 부문들이 보다 넓은 구성요소/구성원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진전하는지 등의 다양한 운동 네트워크에 대한 집합적인 현장기술적 성찰

사회운동과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연구로서의 ‘전투적 현장기술지’는 또한 학계에도 비판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데, 이는 대학들이 이전에도 없지 않았지만 이제 노골적으로 돈벌이하며 (지구적) 기업화 하려는 현재 상황에서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낸시 세퍼-휴즈(Scheper-Hughes 1995)는 학계 안에 있는 연구자들이 집필과 출판을 저항의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시스템 내부에서 일하면서 대안적이고 정치적으로 연관된 세계상을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 루틀리지(Routledge, 1996)는 그 어디도 “순수하”거나 “정통의” 장소들은 없다고 하고, 학계와 행동주의 현장 모두 “다른 활동 공간과 상호 엮이는 사회적 행동의 유동적인 장을 구성한다”면서 대안적인 제 3의 공간으로 “장소, 역할, 대의 그 어떤 것도 군림하지 않는 곳, 누구나 계속해서 타자를 전복하는 곳”을 제안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보다 이상적인 형태들이기는 하지만 여기저기서 실험되고 있는, 제도/기구 밖의 자율적 연구 집단들의 네트워크라든가 자유 대학 프로젝트, 활동가 연구 토론회나 급진 이론 포럼 등이 있겠다.

대충 ‘전투적 현장기술지’에 대해 살펴봤는데, 두 가지 드는 생각을 덧붙이면:

하나는 현장기술 연구가 가능한 운동이 꼭 ‘전투적’인 것일 필요는 없다는 점이다. 사회운동을 사회운동이라고 표방한 집단/조직에 한정시킬 것 없이, 다양한 사회변화의 현장으로 볼 수 있고, 그리고 인류학을 전공한 연구자만의 방법이라거나 더 나아가 전문 연구 제도/기구에 몸담은 전문 연구자만의 방법이라고 제한할 것이 아니라 집단적인 형태로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어떤 실천에 대한 자기 분석, 평가, (재)계획의 방법으로 볼 수 있다.

단적인 예로, 용산참사 현장에서 다양한 문화 예술 미디어 작업들이 이뤄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독립영화 제작자들과 미디어 활동가들이 기획하고 연구자들도 참여하고 있는용산4구역 구술사 프로젝트”가 주목된다. “촛불미디어센터-촛불방송국“라는 다음기업 카페에 구술사 작업에 대한 게시판이 있지만, 불행히도 공개되어 있지는 않아서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 수는 없지만…(행동하는라디오 ‘언론재개발’ 진보블로그의 “용산4구역 구술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김학재님!”에 아주 짧게 나와 있는 것 정도 말고는)

쌍용차 노조의 공장 점거 파업 투쟁 과정 그리고 끝난 이후에도 인권운동 활동가들 등의 직접행동과 조사 연구 활동이 또한 그렇다. 최근의 “쌍용 자동차 아이들이 아프다” – 쌍용 자동차 파업 참여 노동자들 자녀의 인권침해에 관한 실태조사와 같은 작업…

또 하나는, 우리가 꼭 ‘전투적 현장기술지’/인류학을 그대로 따를 필요 없다는 점이다. 이미 오래전부터 이 땅에서도 있어온 연구 실천인 것인데 (아직 내가 몰라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우리말로 자체적으로 개념화하지 못했을 뿐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새삼스럽게, 왜 한국의 학술 연구 공동체는 바로 여기의 현실과 실천에 대한 분석과 개념화/이론화 작업을 잘 하지 못해온 걸까.

2008년 촛불시위 와중에 그리고 지금도 계속해서 여러 글들, 논문, 책들이 나왔고 시간되는대로 봤는데, 가장 감동적이고 현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 분석 글들은 젊은 연구자들(대학원생 등)의 논문들이었다. 예를 들어, ‘소울드레서’나 ‘쌍코’의 여성 온라인 공동체에 대한 ‘참여’ 관찰을 통해 내부의 정치적 토론 과정, 집단 행동의 조직화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논리적으로 풀어내려는 시도들이었다. 물론, 아쉬운 지점들이 많았지만, 여느 중견 학자들의 관전평 수준 혹은 이론적 재단의 논문들이나 책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생동감이 있었다.

더 나아가, 말 그대로 ‘전투적’ 현장기술지로 생각해도 좋을 것으로 ‘서른즈음에’의 글들이 인상적이었다. 필명이 암시하는것과 다르게 수십년 동안 조직운동을 해온 분인데, 촛불시위에 개별적으로 참여하면서 몇몇 ‘순도 높은’ 촛불 온라인 공동체의 일원으로 일하면서 (이전에 정치에 관심도 없었던) 촛불 참여 주체들이 점차 정치화되는 내부의 역동을 분석하고 운동론을 제시하고 있다. 다행히 ‘서른즈음에’의 블로그에 그런 글들이 몇 있는데,

물론 위 글들의 주장에 동의하느냐는 별도로 토론이 될 거리이고, 그런 주장과 제안이 나오기까지의 과정과 방법이 위 글들에 어느 정도 드러나 있다(예전에 ‘서른즈음에’님이 한 모임에서 발제하는 걸 들어서 그런 것 같기도 하지만…)

참고한 글

  • 기어트 로빈크(Geert Lovink), “네트워크된 운동의 내부: 제프리 주리스와의 인터뷰”(Inside Networked Movements: Interview with Jeffrey Juris). 2008년 10월 10일. http://mail.kein.org/pipermail/nettime-l/2008-October/000856.html
  • 제프리 주리( Jeffrey S. Juris). 2007. “바르셀로나에서 지구저항운동과 함께 전투적 현장기술지 실천하기”(Practicing Militant Ethnography with the Movement for Global Resistance in Barcelona)[PDF], “구성적[혹은 제헌적] 상상력: 전투적 탐구, 집단적 이론화”라는 책에 실림(아래 참조).
    • 본문에서 언급한 네 명의 인류학자들의 아래의 글들도 위 글에서 재인용한 것이다.
    • David Graeber, 2004. “The Twilight of Vanguardism” in Challenging Empires, eds. Jai Sen et al (New Delhi: The Viveka Foundation)
    • Julia Paley, 2001. Marketing Democrac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John Burdick, 1998. Blessed Anastacia (New York: Routledge)
    • Paul Routledge, 1996. “Critical Geopolitics and Terrains of Resistance”(Political Geography 15, no. 6/7)

    더 참고하면 좋을 것들

    • 바바라 엡슈타인(Babara Epstein)의 1970~80년대 미국의 직접행동 운동에 대한 연구서 “정치적 시위와 문화적 혁명”(Political Protest and Cultural Revolution). 번역 안 되어 있는 것 같고, 몇몇 대학 도서관에 있음.
    • 조지 카치아피키스(George Katsiaficas)의 독일 등에서의 1960~70년대 자율주의 운동에 대한 연구서, “정치의 전복”(Subversion of Politics), 한글본 관련 참조(개정판 근간)
    • 낸시 쉐퍼-휴즈(Nancy Scheper-Hughes), “윤리적인 것의 우선성: 전투적 인류학을 위한 명제들(The Primacy of the Ethical: Propositions for a Militant Anthropology)” (1995). Current Anthropology. 36 (3), pp. 409-420. Postprint available free at: http://repositories.cdlib.org/postprints/3109
    • 온라인 저널, “하루살이: 조직에서의 이론과 정치”(Ephemera: theory & politics in organization)  – 특히, 이 주제와 관련된 것으로 2005년의 5권 4호의 특집 “조직화된 저항을 새기기”(Inscribing Organized Resistance)
    • 2008년에 만들어진 운동 저널 , “난류”(Turbulence). 재밌는 글들이 몇 편 있다.
    • 스텝벤 슈카이티스(Stephven Shukaitis)와 데이비드 그레이버(David Graeber)가 편집한 책(2007, AK Press): “구성적[혹은 제헌적] 상상력: 전투적 탐구, 집단적 이론화”(Constituent Imagination: Militant Investigations, Collective Theorization). http://stevphen.mahost.org/CITOC.html(여기에서 모든 글들을 볼 수 있다.)

    http://www.akpress.org/images/cms/4606_popup.jpg

    관련 글:

    책: 그레이버, [직접행동 모음집](영어)

    2009년 8월에 나온 인류학자이자 아나키스트 활동가인 데이비드 그레이버(David Graeber)의 책: 출판사(AK Press)의 광고문구에 보면 “그의 첫번째 세부적인 지구정의 운동에 대한 현장기술 연구”로 되어 있다.

    지구 정의(global justice)는 기업 지구화 반대(anti-corporate globalization)나 신자유주의 세계화 반대 운동을 영어권의 활동가들이 부르는 명칭이다. 반세계화운동으로 잘못 불려진 것과 다르게, 세계화 자체는 반대하지 않기 때문에, 대안 지구화 운동이나 지구 정의 운동 같은 운동의 명칭이 나온 듯 하다.

    연구자이자 활동가로서 참여하고 행동하고 관찰한 것을 꼼꼼하게 기록하며 분석한 책이지 않을까 싶다. “전투적 현장기술지” 작업이겠다(이에 대해서는 곧…). 그리고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중반까지 신자유주의 세계화 반대 운동 혹은 지구 정의 운동에 대해 – 주류 미디어가 묘사하듯 ‘구경거리’ 정도가 아니라 그 구체적인 조직화 과정, 내부 논쟁과 혁신 – 불법/합법 혹은 폭력/비폭력 전술, 내부의 민주주의, 다양한 디지털 네트워크 기술의 활용 방식 등을 들여다볼 수 있는 책일 것 같다.

    http://www.akpress.org/images/cms/5548_popup.jpg

    관련 글:

    [발표자료] 촛불 미디어 행동주의 분석

    2008년 촛불시위(대략 8월 정도까지만)에서의 다양한 미디어 행동(주의)의 사례들을 모은 발표자료다.

    글을 쓰려고 하는 중인데, <뻔뻔한 미디어농장>, 문화연구캠프에 가다! - 제4차 포럼- “촛불, 문화정치, 그리고 미디어 저항의 방법론”에서 슬라이드로만 해도 된다고 해서…

    관련 글: